반응형

1. 서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pter10의 람다를 이용한 도메인 전용 언어에 대해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 도메인 전용 언어

도메인 전용 언어 ( = Domain Specific Languages )는 특정 비즈니스 도메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언어입니다.

간단히, 특정 비즈니스 도메인을 인터페이스로 만든 API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래 2가지를 생각하면서 DSL을 개발해야 합니다.

 

  • 코드의 의도가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 가독성을 높여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1) DSL의 장점과 단점

 

DSL은 비즈니스 의도와 가독성 측면에서는 좋지만, 해당 코드가 올바른지 검증과 유지보수를 해야하는 책임이 잇따르게 됩니다.

 

때문에,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아래는 DSL의 장점입니다.

 

  • 간결함 : 비즈니스 로직을 캡슐화하여 반복을 피하고 간결해집니다.
  • 가독성 : 도메인 영역의 용어를 사용하므로 비 도메인 전문가도 코드를 이해 할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 : 간결함과 가독성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가 좋습니다.
  • 높은 수준의 추상화 : 도메인과 같은 추상화 수준에서 동작하므로 도메인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세부사항을 숨깁니다.
  • 집중 : 비즈니스 도메인을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므로 특정 코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관심사 분리 : 인프라구조 관련된 문제와 독립적으로 비즈니스 관련된 코드가 분리되어 집니다.

 

아래는 DSL의 단점입니다.

 

  • DSL 설계의 어려움 : 제한적인 언어에 도메인 지식을 담는것이 쉬운 작업은 아닙니다.
  • 개발 비용 : DSL을 프로젝트에 추가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됩니다.
  • 추가 우회 계층 : DSL 은 새로운 계층으로 기존 조메인 모델을 감싸는 형태가 되며, 계층을 최대한 작게 만들어 성능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새로 배워야 하는 언어 : DSL도 결국에는 언어이기 때문에, 해당 언어를 배워야합니다.
  • 호스팅 언어 한계 : 자바와 같이 엄격한 문법을 가진 언어는 사용자 친화적 DSL을 만드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2) JVM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른 DSL 해결책

 

DSL은 내부 DSL외부 DSL 이라는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내부 DSL : 순수 자바코드 같은 기존 호스팅 언어를 기반으로 구현한 언어
  • 외부 DSL : 호스팅 언어와는 독립적으로 자체의 문법을 가지는 언어 (ex : SQL)

추가로 최근 자바는 아니지만 스칼라, 코틀린과 같이 JVM에서 실행되는 언어들이 나옴으로 인해 다중 DSL이라는 카테고리가 추가 되었습니다.

 

 

1.  내부 DSL

 

엄격한 문법을 가진 자바의 경우 DSL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자바 8에서 나온 람다, 메서드 참조 등을 이용해 한계는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바를 통해 DSL을 구현함으로 얻는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새로운 언어와 기술을 배울 노력이 줄어듭니다.
  2. 다른 언어가 아닌 자바로 DSL을 구현하게 되면, 나머지 코드와 같이 컴파일이 가능해집니다.
  3. 자바를 사용하는 IDE의 혜택을 누릴수 있습니다.
  4. 자바는 유지보수에는 좋기 때문에 향후 도메인 변경 이슈에 대해 용이합니다.

 

2. 다중 DSL

 

JVM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언어가 있어, 자바 어플리케이션이지만 DSL은 스칼라같은 언어로 대체가 되어 유연해질 수 있습니다.

 

스칼라가 자바에 비해 함수형 언어에 가까워 DSL을 구현하기에는 적합합니다.
이유는 함수형 언어는 객체지향보다 좀 더 코드가 직관적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단점도 존재합니다.

 

  • 새로운 프로그래밍을 배우거나 팀원 중 해당 언어에 대해 숙련자가 있어야 합니다.
  • 두개 이상의 언어가 혼재하므로 컴파일 빌드 시 과정을 개선해야 합니다.
  • 같은 JVM에서 동작은 하지만 사실상 100% 자바와 호환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3. 외부 DSL

 

외부 DSL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문법과 구문으로 새 언어를 설계해야합니다.

 

또한, 새 언어를 파싱하고 파서의 결과를 분석하여 외부 DSL을 실행할 코드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매우 어려우며 잘못하면 성능이슈와 더불어 프로그램이 안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만의 언어를 설계함으로 인해 무한한 유연성을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은 존재합니다.

또한, 자바코드와 외부 DSL코드의 명확한 분리가 된다는 장점도 존재합니다.

 

3. 최신 자바 API의 작은 DSL

자바 8에서 등장한 람다, 디폴트 메서드로 인해 작은 DSL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자바 컬렉션에서 제공하는 작은 정렬 DSL입니다.

 

Collections.sort(persons, comparing(Person::getAge).reverse());

 

위 comparing, reverse와 같은 것들이 최신 자바에서 제공하는 DSL로 볼 수 있습니다.

 

자바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comparing을 통해 비교를 하고, reverse를 보고 반대로 정렬하도록 되어있다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부적으로 어떠한 일을 하는지 숨겨놨기 때문에 자바로 만든 DSL로 볼 수 있습니다.

 

 

1) 스트림 API는 컬렉션을 조작하는 DSL

 

Stream 인터페이스는 네이티브 자바 API에 작은 내부 DSL을 적용한 좋은 예입니다.

 

List<String> errors = Files.lines(Paths.g(fileName))
        .filter(line -> line.startsWith("ERROR"))
        .limit(40)
        .collect(Collectors.toList());

 

위의 filter, limit, collect 모두 작은 DSL로 볼 수 있습니다.

 

 

2) 데이터를 수집하는 DSL인 Collectors

 

위에서 본 filter와 limit의 경우에는 Stream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조작 DSL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collect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DSL로 간주 할 수 있습니다.

 

Collectors 클래스 또한 디폴트 메서드를 통해 쉽세 DS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가독성 측면에서 Collectors는 좋지 않을때가 있는데 아래는 그 예로 Comparator와 비교한 코드입니다.

 

// Collectors
Map<String, Map<Color, List<Car>>> carsByBrandAndColor =
                cars.stream().collect(Collectors.groupingBy(Car::getBrand), Collectors.groupingBy(Car::getColor));

// Comparator
Comparator comparator = Comparator.comparing(Person::getAge).thenComparing(Person::getName);

 

위는 Collectors의 중첩함수와 Comparator의 비교 함수입니다.

 

Collectors의 중첩의 경우 메서드 안에 메서드가 있는 형태입니다.

이는 Comparator의 체이닝메서드 형태보다 가독성 측면에서 떨어지게 됩니다.

 

 

 

 

 

 

 

반응형

 

 

 

 

 

 

4. 자바로 DSL을 만드는 패턴과 기법

 

위 3번의 Collectors 와 같이 제공하는 DSL이 모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번에는 직접 DSL을 만드는 패턴과 기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들어가기에 앞서 DSL은 특정 도메인 모델을 위한 언어이므로 아래와 같은 도메인을 설정하고 시작하겠습니다.

 

@Getter
@Setter
public class Stock {
    private String symbol;
    private String merket;
}


@Getter
@Setter
public class Trade {
    
    public enum Type {BUY, SELL};
    private Type type;
    private Stock stock;
    private int quantity;
    private double price;
    
    public double getValue() {
        return quantity * price;
    }
}



public class Order {

    @Getter
    private String customer;
    private List<Trade> trade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Trade(Trade trade) {
        trades.add(trade);
    }
    
    public double getValue() {
        return trades.stream().mapToDouble(Trade::getValue).sum();
    }
    
}

 

아래는 위 도메인 모델을 이용하여 BigBank라는 고객이 요청한 두 거래를 포함하는 주문을 만들은 예제입니다.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Customer("BigBank");

Trade trade1 = new Trade();
trade1.setType(Trade.Type.BUY);

Stock stock1 = new Stock();
stock1.setSymbol("IBM");
stock1.setMerket("NYSE");

trade1.setStock(stock1);
trade1.setPrice(125.00);
trade1.setQuantity(80);
order.addTrade(trade1);

Trade trade2 = new Trade();
trade2.setType(Trade.Type.SELL);

Stock stock2 = new Stock();
stock2.setSymbol("GOOGLE");
stock2.setMerket("NASDAQ");

trade2.setStock(stock2);
trade2.setPrice(375.00);
trade2.setQuantity(50);
order.addTrade(trade2);

 

위 코드는 한눈에 봐도 장황하며 비개발자가 이해하기는 더욱 불가능한 코드입니다.

 

직관적으로 도메인 모델을 반영할 수 있는 DSL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1) 메서드 체인

 

DSL에서 가장 흔한 방식 중 하나가 메서드 체인 방식입니다.

 

메서드 체인을 사용하면 위에서 도메인 객체를 만들기 위한 장황한 코드는 아래와 같이 바뀔수 있습니다.

 

Order order = forCustomer("BigBank")
        .buy(80)
        .stock("IBM")
        .on("NYSE")
        .at(125.00)
        .buy(50)
        .stock("GOOGLE")
        .on("NASDAQ")
        .at(375.00)
        .end();

 

위와 같은 DSL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몇개의 빌더 클래스를 만들어야 합니다.

 

public class MethodChainingOrderBuilder {
    
    public final Order order = new Order();
    
    private MethodChainingOrderBuilder(String customer) {
        order.setCustomer(customer);
    }
    
    public static MethodChainingOrderBuilder forCustomer(String customer) {
        return new MethodChainingOrderBuilder(customer);
    }
    
    public TradeBuilder buy(int quantity) {
        return new TradeBuilder(this, Trade.Type.BUY, quantity);
    }
    
    public TradeBuilder sell(int quantity) {
        return new TradeBuilder(this, Trade.Type.SELL, quantity);
    }
    
    public MethodChainingOrderBuilder addTrade(Trade trade) {
        order.addTrade(trade);
        return this;
    }
    
    public Order end() {
        return order;
    }
}

 

public class TradeBuilder {
    private final MethodChainingOrderBuilder builder;
    public final Trade trade = new Trade();

    public TradeBuilder(MethodChainingOrderBuilder builder, Trade.Type type, int quantity) {
        this.builder = builder;
        trade.setType(type);
        trade.setQuantity(quantity);
    }

    public StockBuilder stock(String symbol) {
        return new StockBuilder(builder, trade, symbol);
    }
}

 

public class StockBuilder {
    private final MethodChainingOrderBuilder builder;
    private final Trade trade;
    private final Stock stock = new Stock();

    public StockBuilder(MethodChainingOrderBuilder builder, Trade trade, String symbol) {
        this.builder = builder;
        this.trade = trade;
        stock.setSymbol(symbol);
    }

    public TradeBuilderWithStock on(String market) {
        stock.setMerket(market);
        trade.setStock(stock);
        return new TradeBuilderWithStock(builder, trade);

    }
}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radeBuilderWithStock {
    private final MethodChainingOrderBuilder builder;
    private final Trade trade;

    public MethodChainingOrderBuilder at(double price) {
        trade.setPrice(price);
        return builder.addTrade(trade);
    }
}

 

이러한 빌드 클래스를 이용하여 좀 더 직관적인 도메인 객체를 생성하는 DSL을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복잡한 빌드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중첩된 함수 이용

 

중첩된 함수 DSL 패턴은 다른 함수안에 함수를 이용해 도메인 모델을 만듭니다.

 

아래는 중첩 함수 DSL를 사용하여 도메인 객체를 만드는 예제 입니다.

 

Order order = order("BigBank",
        buy(80,
                stock("IBM", on("NYSE")), at(125.00)),
        sell(50,
                stock("GOOGLE", on("NASDAQ")), at(375.00))
);



public class NestedFunctionOrderBuilder {
    
    public static Order order(String customer, Trade... trades) {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Customer(customer);
        Stream.of(trades).forEach(order::addTrade);
        return order;
    }
    
    public static Trade buy(int quantity, Stock stock, double price) {
        return buildTrade(quantity, stock, price, Trade.Type.BUY);
    }

    public static Trade sell(int quantity, Stock stock, double price) {
        return buildTrade(quantity, stock, price, Trade.Type.SELL);
    }
    
    private static Trade buildTrade(int quantity, Stock stock, double price, Trade.Type buy) {
        Trade trade = new Trade();
        trade.setQuantity(quantity);
        trade.setType(buy);
        trade.setStock(stock);
        trade.setPrice(price);
        return trade;
    }
    
    public static double at(double price) {
        return price;
    }
    
    public static Stock stock(String symbol, String market) {
        Stock stock = new Stock();
        stock.setSymbol(symbol);
        stock.setMerket(market);
        return stock;
    }
    
    public static String on(String market) {
        return market;
    }
}

 

 

메서드 체인에 비해 함수의 중첩 방식이 도메인 객체 계층 구조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DSL은 사용시 괄호가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람다 표현식을 이용한 함수 시퀀싱

 

위 중첩함수 DSL을 이번에는 람다를 사용하여 더욱 깔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Order order = order( o-> {
    o.forCustomer("BigBank");
    o.buy( t -> {
        t.quantity(80);
        t.price(125.00);
        t.stock( s -> {
            s.symbol("IBM");
            s.market("NYSE");
        });
    });
    o.sell(t -> {
        t.quantity(50);
        t.price(375.00);
        t.stock(s -> {
            s.symbol("GOOGLE");
            s.market("NASDAQ");
        });
    });
});

 

public class LambdaOrderBuilder {
    private Order order = new Order();
    
    public static Order order(Consumer<LambdaOrderBuilder> consumer) {
        LambdaOrderBuilder builder = new LambdaOrderBuilder();
        consumer.accept(builder);
        return builder.order;
    }
    
    public void forCustomer(String customer) {
        order.setCustomer(customer);
    }
    
    public void buy(Consumer<LambdaTradeBuilder> consumer) {
        trade(consumer, Trade.Type.BUY);
    }

    public void sell(Consumer<LambdaTradeBuilder> consumer) {
        trade(consumer, Trade.Type.SELL);
    }
    
    private void trade(Consumer<LambdaTradeBuilder> consumer, Trade.Type type) {
        LambdaTradeBuilder builder = new LambdaTradeBuilder();
        builder.trade.setType(type);
        consumer.accept(builder);
        order.addTrade(builder.trade);
    }
}
public class LambdaTradeBuilder {
    public Trade trade = new Trade();

    public void quantity(int quantity) {
        trade.setQuantity(quantity);
    }

    public void price(double price) {
        trade.setPrice(price);
    }

    public void stock(Consumer<LambdaStockBuilder> consumer) {
        LambdaStockBuilder builder = new LambdaStockBuilder();
        consumer.accept(builder);
        trade.setStock(builder.stock);
    }
}
public class LambdaStockBuilder {
    public Stock stock = new Stock();

    public void symbol(String symbol) {
        stock.setSymbol(symbol);
    }

    public void market(String market) {
        stock.setMerket(market);
    }
}

 

위 방법은 앞서 봤던 2가지 방법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위 3가지 방법은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선호에 따라 3가지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됩니다.

 

4) DSL에 메서드 참조 사용하기

 

DSL을 만들때 메서드 참조를 사용하여 더욱 직관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위 주식 거래 도메인에서 계산을 하는 DSL을 만드는 예제입니다.

 

double value = new TaxCalculator()
    .withTaxRegional()
    .withTaxSurcharge()
    .calculate(order);

 

public class TaxCalculator {
    private boolean useRegional;
    private boolean useGeneral;
    private boolean useSurcharge;

    public TaxCalculator withTaxRegional() {
        useRegional = true;
        return this;
    }

    public TaxCalculator withTaxGeneral() {
        useGeneral = true;
        return this;
    }

    public TaxCalculator withTaxSurcharge() {
        useSurcharge = true;
        return this;
    }

    public double calculate(Order order) {
        return calculate(order, useRegional, useGeneral, useSurcharge);
    }

    public static double calculate(Order order, boolean useRegional, boolean useGeneral,
                                   boolean useSurcharge) {
        double value = order.getValue();
        if(useRegional) value = Tax.regional(value);
        if(useGeneral) value = Tax.general(value);
        if(useSurcharge) value = Tax.surcharge(value);
        return value;
    }
}

 

위의 TaxCalculator 클래스는 각 boolean 값을 사용하여 확장성 부분에서 미약합니다.

하지만, 메서드 참조를 통해 리팩터링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메서드 참조를 통해 리팩터링한 코드입니다.

 

double value = new TaxCalculator()
    .with(Tax::regional)
    .with(Tax::surcharge)
    .calculate(order);

 

public class TaxCalculator {
    public DoubleUnaryOperator taxFunction = d -> d;

    public TaxCalculator with(DoubleUnaryOperator f) {
        taxFunction = taxFunction.andThen(f);
        return this;
    }

    public double calculate(Order order) {
        return taxFunction.applyAsDouble(order.getValue());
    }
}

 

5.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pter10 람다를 이용한 도메인 전용 언어에 대해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에는 Chapter11 null 대신 Optional 클래스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서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pter9의 리팩터링, 테스팅, 디버깅 에 대해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 가독성과 유연성을 개선하는 리팩터링

 

람다를 사용한 코드는 동작 파라미터화를 통해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코드 가독성 개선

 

코드 가독성이란 "어떤 코드를 다른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음" 을 의미합니다.

 

람다를 사용하게되면 이 코드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익명 클래스를 람다 표현식으로 리팩터링하기

 

아래는 익명클래스를 람도로 리팩터링한 예제입니다.

 

Runnable r1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Hello");
        
    }
};

Runnable r2 = () -> System.out.println("Hello");

 

한눈에 봐도 코드가 간결해지면서 가독성이 올라간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익명 클래스를 람다로 바꿀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1. 익명 클래스에서 사용한 this, super는 람다와 다릅니다.

 

익명클래스의 this는 익명클래스 자신을 가리키는 반면,

람다는 this의 경우 람다를 감사는 클래스를 가리킵니다.

 

2. 익명 클래스는 감싸고 있는 클래스의 변수를 가릴수 있지만 람다는 가릴수 없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int a = 10;

Runnable r1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int a =2; // 정상 동작
        System.out.println(a)
    }
};

Runnable r2 = () -> {
    int a= 2; // 컴파일 에러
    System.out.println(a);
};

 

3. 익명클래스는 람다 표현식으로 바꿀시 컨텍스트 오버로딩에 따른 모호함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명시적 형변환을 통해 모호함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interface Task {
    void execute();
}

public static void doSomething(Task a) {a.execute();};
public static void doSomething(Runnable r) {r.ru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Something((Task)() -> System.out.println("Danger Danger!!"));
}

 

3) 람다 표현식을 메서드 참조로 리팩터링하기

 

람다에서 메서드 참조를 통해 더욱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enum CaloricLevel {
    DIET, NORMAL, FAT
}

@G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private static class Dish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boolean vegetarian;
    private final int calories;
    private final Type type;
    enum Type {
        MEAT, FISH, OTHER
    }
    
    public CaloricLevel getCaloricLevel() {
        if (this.getCalories() <= 400) return CaloricLevel.DIET;
        else if (this.getCalories() <= 700) return CaloricLevel.NORMAL;
        else return CaloricLevel.FAT;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Dish> menu = Arrays.asList(
            new Dish("pork", false, 800, Dish.Type.MEAT),
            new Dish("beef", false, 700, Dish.Type.MEAT),
            new Dish("chicken", false, 400, Dish.Type.MEAT),
            new Dish("french fries", true, 530, Dish.Type.OTHER),
            new Dish("rice", true, 350, Dish.Type.OTHER),
            new Dish("season fruit", true, 120, Dish.Type.OTHER),
            new Dish("pizza", true, 550, Dish.Type.OTHER),
            new Dish("prawns", false, 300, Dish.Type.FISH),
            new Dish("salmon", false, 450, Dish.Type.FISH)
            ;
    Map<CaloricLevel, List<Dish>> dishesByCaloricLevel = 
                    menu.stream().collect(groupingBy(Dish::getCaloricLevel));
}

 

4) 명령형 데이터 처리를 스트림으로 리팩터링하기

 

반복자를 통한 명령형 처리를 스트림으로 리팩터링할 시 더욱 가독성이 올라갑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List<String> dishNames = new ArrayList<>();
for (Dish dish : menu) {
    if(dish.getCalories() > 300) {
        dishNames.add(dish.getName());
    }
}

menu.parallelStream()
        .filter(d -> d.getCalories() > 300)
        .map(Dish::getName)
        .collect(Collectors.toList());

 

 

5) 코드 유연성 개선

 

람다 표현식으로 동작 파라미터화를 쉽게 가능한것을 앞절에서 살펴봤습니다.

 

이것은 결국 코드가 유연하게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앞에서 살펴본 실행 어라운드가 있습니다.

 

 

 

 

 

 

 

반응형

 

 

 

 

 

 

 

3. 람다로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리팩터링하기

기존 자바의 유지보수와 더욱 깔끔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디자인 패턴을 사용했었습니다.

 

람다를 이용하면 이 디자인 패턴으로 해결하던 문제를 더욱 쉽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전략

 

전략(strategy) 패턴은 런타임에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기법입니다.

 

아래는 기존 디자인 패턴으로 전략패턴을 구현한 예제입니다.

 

public interface ValidationStrategy {
    boolean execute(String s);
}

public class IsAllLowerCase implements ValidationStrategy {
    @Override
    public boolean execute(String s) {
        return s.matches("[a-z]+");
    }
}

public class IsNumeric implements ValidationStrategy {
    @Override
    public boolean execute(String s) {
        return s.matches("\\d+");
    }
}

public class Validator {
    private final ValidationStrategy validationStrategy;
    public Validator(ValidationStrategy v) {
        this.validationStrategy = v;
    }
    public boolean validate(String s) {
        return validationStrategy.execute(s);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lidator numericValidator = new Validator(new IsNumeric());
    boolean b1 = numericValidator.validate("aaaa");
    Validator lowerValidator = new Validator(new IsAllLowerCase());
    boolean b2 = lowerValidator.validate("bbbb");
}

 

위에는 구현체를 모두 정의하여 사용해야합니다.

 

하지만 람다를 사용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리팩터링이 가능합니다.

 

public interface ValidationStrategy {
    boolean execute(String s);
}

public class Validator {
    private final ValidationStrategy validationStrategy;
    public Validator(ValidationStrategy v) {
        this.validationStrategy = v;
    }

    public boolean validate(String s) {
        return validationStrategy.execute(s);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lidator numericValidator = new Validator( s -> s.matches("[a-z]+"));
    boolean b1 = numericValidator.validate("aaaa");

    Validator lowerValidator = new Validator(s -> s.matches("\\d+"));
    boolean b2 = lowerValidator.validate("bbbb");
}

 

2) 템플릿 메서드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알고리즘의 일부만을 고쳐야하는 상황에 필요합니다.

 

아래는 디자인 패턴으로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구현한 예제입니다.

 

abstract class OnlineBanking {
    public void processCustomer(int id) {
        Customer c = Database.getCustomerWithId(id);
        makeCustomerHappy(c);
    }
    
    abstract void makeCustomerHappy(Customer c);
}

 

위 같은 경우에는 OnlineBanking의 추상클래스를 상속받은 하위 클래스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람다를 사용한다면 굳이 추상, 하위 클래스 구조를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class OnlineBanking {
    public void processCustomer(int id, Consumer<Customer> makeCustomerHappy) {
        Customer c = Database.getCustomerWithId(id);
        makeCustomerHappy.accept(c);
    }
}

 

3) 의무 체인

 

작업 처리 객체의 체인을 만들 때는 의무 체인 패턴을 사용합니다.

 

아래는 디자인 패턴을 통해 의무체인 패턴을 구현한 코드입니다.

 

@Setter
public abstract class ProcessingObject<T> {
    protected ProcessingObject<T> successor;

    public T handle(T input) {
        T r = handleWork(input);
        if (successor != null) {
            return successor.handle(input);
        }
        return r;
    }
    abstract protected T handleWork(T input);
}
    
public class HeaderTextProcessing extends ProcessingObject<String> {

    @Override
    protected String handleWork(String input) {
        return "From Raoul, Mario and Alan: " + input;
    }
}

public class SpellCheckProcessing extends ProcessingObject<String> {

    @Override
    protected String handleWork(String input) {
        return input.replaceAll("labda", "lambda");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cessingObject<String> p1 = new HeaderTextProcessing();
    ProcessingObject<String> p2 = new SpellCheckProcessing();
    
    p1.setSuccessor(p2);
    
    String result = p1.handle("Aren't labdas really sexy?!!");
    System.out.println(result);
}

 

위와 같은 작업 처리는 Function의 andThen 메서드를 통해 간편하게 구현이 가능해졌습니다.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UnaryOperator<String> headerTextProcessing = s -> "From Raoul, Mario and Alan: " + s;
UnaryOperator<String> spellCheckProcessing = s -> s.replaceAll("labda", "lambda")

Function<String, String> pipeline = headerTextProcessing.andThen(spellCheckProcessing);
String result = pipeline.apply("Aren't labdas really sexy?!!");

 

 

4. 람다 테스팅

이번엔 람다를 테스팅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보이는 람다 표현식의 동작 테스팅

 

람다는 결국 익명함수로 테스트 코드 작성 시 호출 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 람다를 필드에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람다의 로직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람다를 사용하는 메서드의 동작에 집중하라

 

람다의 목표는 정해진 동작을 다른 메서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캡슐화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테스트 시 람다의 세부구현이 아닌 인풋과 람다를 통한 아웃풋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여 검증하면 됩니다.

 

3) 복잡한 람다를 개별 메서드로 분할하기

 

만약 람다 표현식이 복잡하여 테스트하기가 힘든경우에는,

위에서 살펴본곳처럼 메서드 참조로 수정하여 일반 메서드를 테스트하듯이 람다표현식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5. 디버깅

디버깅 시 개발자는 아래 두가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스택 트레이스
  • 로깅

하지만, 람다 표현식와 스트림은 디버깅하기가 좀 까다롭습니다.

 

1) 스택 트레이스 확인

 

프로그램이 메서드를 호출할 때마다 호출위치, 호출할 때의 인수값, 호출된메서드의 지역변수 등 정보들이 생성되며 스택프레임에 저장됩니다.

 

스택트레이스는 이 스택프레임에서 정보를 가져와 보여주게됩니다.

 

하지만 람다의 경우 스택 트레이스가 기존과는 다르게 나오게 되며, 메서드 이름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람다 표현식은 이름이 없어 컴파일러가 이름을 자동을 생성하게 되면서 생겨나게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클래스와 같은 곳에 선언되어 있는 메서드 참조시에는 메서드 이름이 스택트레이스에 포함하게 됩니다.

 

안타깝게도 이것은 아직 fix되지 않은 점으로, 개발 시 스택트레이스의 확인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정보 로깅

 

스트림에서는 마지막 연산이 호출되는 순간 전체 스트림이 소비되어 로깅하기에 매우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 peek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eek 메서드의 경우 실제로 스트림 요소를 소비하지 않고, 자신이 확인한 요소를 파이프라인의 다음 연산으로 그대로 전달하게 됩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List<Integer> numbers = List.of(1,2,3,4,5);
numbers.stream()
        .peek(System.out::println)
        .map(x -> x + 17)
        .collect(Collectors.toList());

 

6.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pter9 리팩터링, 테스팅, 디버깅에 대해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에는 Chapter10 람다를 이용한 도메인 전용 언어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서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pter8의 컬렉션 API 개선 에 대해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 컬렉션 팩토리

자바 9에서는 작은 컬렉션 객체를 쉽게 만들 수 있는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존 작은 List 객체를 간단히 생성할 때는 Arrays.asList() 를 통해 만들었습니다.

Arrays 를 통해 만든 리스트에는 새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는 불가능하지만 갱신이 가능했습니다.

 

자바 9에서는 컬렉션에 Immutable 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리스트 팩토리

 

List.of 팩토리 메서드를 통해 간단하게 리스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List<String> friends = List.of("Raphael", "Olivia", "Thibaut");
System.out.println(friends);

 

List.of 로 만든 리스트의 경우에는 추가, 삭제, 변경 모두 되지 않는 리스트입니다.

또한, null은 허용하지 않아 의도치 않은 버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of 메서드의 경우 가비지 컬렉션 비용으로 인해 10개까지는 고정인자로 받을 수 있도록 오버로딩이 되어 있습니다.
10개 이상으로는 ... 문법을 통해 가변인자로 받고 있습니다.
이것은 Set, Map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습니다.

 

2) 집합 팩토리

 

List.of와 비슷하게 Set.of 를 통해 간단히 Set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맵 팩토리

 

Map의 경우 자바 9에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2가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1. Map.of

 

첫째로 Map.of 를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Map<String, Integer> ageOfFriends
	= Map.of("Raphael", 30, "Olivial", 25, "Thibaut", 26);
System.out.println(ageOfFriends);

 

위 방법은 10개 이하의 키와 값을 통해 만들 때 유용합니다.

 

10개가 넘어가는 Map을 만들때는 Map.ofEntries 를 사용해야합니다.

 

Map<String, Integer> ageOfFriends = Map.ofEntries(
        Map.entry("Raphael", 30),
        Map.entry("Olivial", 25),
        Map.entry("Thibaut", 26)
);

 

3. 리스트와 집합 처리

자바8 에서는 List, Set 인터페이스에 아래와 같은 메서드가 추가되었습니다.

 

  • removeIf: 프레디케이트를 만족하는 요소를 제거
  • replaceAll : 리스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UnaryOperator 함수를 이용해 요소를 바꿈
  • sort : List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리스트를 정렬한다.

위 메서드는 새로운 컬렉션을 반환하는것이 아니라 메서드를 호출한 컬렉션 자체를 바꿉니다.

 

컬렉션을 바꾸는 동작은 에러를 유발하는 위험한 코드입니다.

이를 위해 위와 같은 메서드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1) removeIf

 

아래는 리스트에서 숫자로 시작되는 값을 삭제하는 코드입니다.

 

for(Transaction transaction : transactions) {
    if(Character.isDigit(transaction.getReferenceCode().charAt(0))) {
        transactions.remove(transaction);
    }
}

 

아쉽게도 위 코드는 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을 발생시킵니다.

 

내부적으로 for-each는 Iterator 객체를 사용하게 되는데 위와같이 remove를 하게 되면,

Iterator와 컬렉션의 상태가 동기화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바8에서 제공하는 removeIf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더욱 readable해진 코드가 탄생합니다.

 

아래는 removeIf를 적용한 예제 코드입니다.

 

transactions.removeIf(transaction -> Character.isDigit(transaction.getReferenceCode().charAt(0)));

 

2) replaceAll 메서드

 

자바8에서는 변경관련하여 replcateAll이라는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stream API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List<String> referenceCodes = List.of("a12", "C14", "b13");
referenceCodes
        .stream()
        .map(code -> Character.toUpperCase(code.charAt(0)) + code.substring(1))
        .collect(Collectors.toList());

 

하지만 위의 코드의 경우에는 새로운 컬렉션이 생성될 뿐더러 코드가 replcaceAll보다는 길게 만들어집니다.

 

아래는 replcaceAll를 적용한 코드입니다.

 

referenceCodes.replaceAll(code -> Character.toUpperCase(code.charAt(0)) + code.substring(1));

 

 

 

반응형

 

 

 

4. 맵 처리

자바8에서는 Map 인터페이스에도 몇가지 디폴트 메서드가 추가되었습니다.

 

1) forEach 메서드

 

아래는 기존 Map을 순회하는 코드입니다.

 

for(Map.Entry<String, Integer> entry : ageOfFriends.entrySet()) {
    String friend = entry.getKey();
    Integer age = entry.getValue();
    System.out.println(friend + " is " + age + " years old");
}

 

자바 8에서는 forEach 메서드를 제공하여 아래와 같이 간편하게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

 

ageOfFriends.forEach((friend, age) -> System.out.println(friend + " is " + age + " years old"));

 

2) 정렬 메서드

 

정렬 관련해서드 아래와 같이 2개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Entry.comparingByValue
  • Entry.comparingByKey

아래는 Entry.comparingByKey의 예제입니다.

 

Map<String, String> favoriteMovies = Map.ofEntries(
        Map.entry("Raphael", "Star Wars"),
        Map.entry("Cristina", "Matrix"),
        Map.entry("Olivia", "James Bond")
);

favoriteMovies
        .entrySet()
        .stream()
        .sorted(Map.Entry.comparingByKey())
        .forEachOrdered(System.out::println);

 

3) getOrDefault 메서드

 

Map에 키가 없는경우, null이 아닌 지정한 디폴트 값을 가져오도록 getOrDefault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NullPointerException을 방지하기 위한 null 체크로직이 없어져 개발자에게 큰 이득을 주게되었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Map<String, String> favoriteMovies = Map.ofEntries(
        Map.entry("Raphael", "Star Wars"),
        Map.entry("Cristina", "Matrix"),
        Map.entry("Olivia", "James Bond")
);

System.out.println(favoriteMovies.getOrDefault("Olivia", "Matrix"));
System.out.println(favoriteMovies.getOrDefault("Thibaut", "Matrix"));

 

getOrDefault 도 키가 존재하지만 값이 null인 경우에는 null을 반환하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4) 계산 패턴

 

맵에 키 존재여부에 따라 동작을 수행 후 결과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아래 3개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computeIfAbsent : 제공된 키에 해당하는 값이 없으면, 키를 이용해 새 값을 계산하고 맵에 추가
  • computeIfPresent : 제공된 키가 존재하면 새 값을 계산하고 맵에 추가
  • compute : 제공된 키로 새 값을 계산하여 맵에 저장

아래는 computeIfAbsent 예제입니다.

 

Map<String, List<String>> favoriteMovies = new HashMap<>();
favoriteMovies.computeIfAbsent("Raphael", name -> new ArrayList()).add("Star Wars");

 

위와 같이 Map<String, List<String>> 같은 자료구조를 사용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mputeIfPresent는 computeIfAbsent와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 한가지 특이점은 computeIfPresent의 경우 반환값이 null인 경우 매핑을 해제하게 됩니다.

 

5) 삭제 패턴

 

자바8 에서는 기존에 있는 remove메서드를 오버로드하여, 키가 특정한 값과 연관되었을때만 지우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favoriteMovies.remove(key, value);

 

6) 교체 패턴

 

맵의 항목을 바꾸는데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 replaceAll : BiFunction을 적용한 결과로 각 항복의 값을 교체
  • Replace : 키가 존재하면 맵의 값을 바꿈

아래는 replaceAll의 예제 코드입니다.

 

Map<String, String> favoriteMovies = new HashMap<>();
favoriteMovies.put("Raphael", "Star Wars");
favoriteMovies.put("Olivia", "James Bond");
favoriteMovies.replaceAll((friend, movie) -> movie.toUpperCase());

 

7) 합침

 

두개의 Map을 합치는 경우에는 putAll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메서드의 경우에는 두 Map에 중복된 키가 없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자바 8에서는 merge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merge 메서드를 사용한 예제입니다.

 

Map<String, String> family = Map.ofEntries(
        Map.entry("Teo", "Star Wars"),
        Map.entry("Cristina", "James Bond")
);

Map<String, String> friends = Map.ofEntries(
        Map.entry("Raphael", "Star Wars"),
        Map.entry("Cristina", "Matrix")
);

Map<String, String> everyOne = new HashMap<>(family);
friends.forEach(
        (k, v) -> everyOne.merge(k, v, (movie1, movie2) -> movie1 + " & " + movie2));

 

3번째 인자로 중복키가 있는 경우 어떻게 처리할건지에 대해 받고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5. 개선된 ConcurrentHashMap

ConcurrentHashMap은 내부 자료구조의 특정 부분만 잠궈 동시추가, 갱신 작업을 허용하는 동시성에 친화적인 Map입니다.

 

1) 리듀스와 검색

 

ConcurrentHashMap에서는 스트림과 비슷하게 아래 3개의 연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forEach : 각 (키, 값) 쌍에 주어진 액션 실행
  • reduce : 모든 (키, 값) 쌍을 제공된 리듀스 함수를 이용해 결과로 합침
  • search : 널이 아닌 값을 반환할 때까지 각 (키, 값) 쌍에 함수를 적용

아래는 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메서드입니다.

 

  • 키 값으로 연산 -> forEach, reduce, search
  • 키로 연산 -> forEachKey, reduceKeys, searchKeys
  • 값으로 연산 -> forEachValue, reduceValues, searchValues
  • Map.Entry 객체로 연산 -> forEachEntry, reduceEntries, searchEntries

위 연산들은 모두 ConcurrentHashMap의 상태를 잠그지 않고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연산이 수행된는 동안 변경에 대해 의존이 있으면 안됩니다.

 

2) 계수

 

기존 Map의 사이즈는 size 메서드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size는 int형으로서 int 범위를 넘어서는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mappingCount 함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mappingCount는 long형 입니다.

 

6.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Chapter8 컬렉션 API 개선에 대해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에는 Chapter9 리팩터링, 테스팅, 디버깅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