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서론

Hadoop eco system에서 많이 사용하는 Spark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책은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스파크 2 프로그래밍 을 통해 공부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장인 스파크 소개부분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2. 스파크 소개

 

1) 스파크란?

 

스파크는 하둡의 mapreduce를 보완하고자 나온 메모리 기반 대용량 처리 프레임워크입니다.

spark는 스칼라로 개발되었습니다.

 

특징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하둡과 달리 파일이 아닌 메모리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방식 제공.
  • 자바, 파이썬, 스칼라 언어 지원 및 다른 오픈소스들과의 플러그인이 많아 유용.
  • 스트리밍, 머신러닝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라이브러리 제공.

 

2) RDD,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셋

 

스파크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델로 RDD,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셋 3가지를 제공합니다.

 

  • RDD란?
    스파크에서 정의한 분산 데이터 모델로서 병렬처리가 가능하고 스스로 에러를 복구할 수 있는 모델.
    input 데이터를 이 RDD라는 모델로 만들어 데이터 핸들링을 하게됩니다.
    • 데이터 복구가 가능한 이유로는 RDD생성작업을 기록하기 때문입니다.
    • RDD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가 존재
      1. 프로그램의 memory에 있는 데이터.
      2. 로컬, hdfs에 있는 외부 파일
      3. 또 다른 RDD로부터.
  • 데이터 프레임이란?
     DataSet[Row]를 데이터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Row는 스파크 lib에서 정의한 클래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데이터 셋이란?
    = 데이터프레임의 진화형 모델.
    DataSet[CustomTypeModel] 과 같이 데이터 모델을 custom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typed 모델입니다.
RDD를 low api라고 하면 데이터 프레임은 high api라고 보면 됩니다.
또한,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한다면 언어의 성능 이슈를 해결가능합니다.
(스파크가 JVM 기반 언어인 스칼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파이썬과 같은 다른 언어의 이종 프로세스간의 성능 이슈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데이터 프레임은 개발자가 정의한 모델이 아닌 스파크가 제공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성능 이슈가 없습니다.)

 

 

 

 

 

반응형

 

 

 

 

 

 

3) 트랜스포메이션 연산과 액션연산

 

스파크에서는 데이터 처리를 위해 정의한 연산이 2가지가 있습니다.

 

  • 트랜스포메이션 연산이란?
    = 어떤 RDD에 변형을 가해 새로운 RDD를 생성하는 연산.
  • 액션 연산이란?
    = 연산의 결과로 RDD가 아닌 다른 값을 반환하는 연산.
  • lazy 실행
    = 스파크는 트랜스포메이션의 meta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액션연산 수행 시 실제 트랜스포메이션 연산의 meta 순서대로 연산을 시작합니다.
    이점이 바로 연산의 최적화를 찾아 수행하는 이유이며, 에러 시 복구가 가능한 이유입니다.

 

4) sparkContext

 

컨텍스트라고 일컬어지는것은 대부분 어떠한 일을 대신 수행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파크 컨텍스트는 아래의 일을 담당하게됩니다.

 

  • 스파크 애플리케이션과 클러스터의 연결을 관리
  • RDD를 생성

 

5) partition

 

partition이란 스파크 클러스터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위입니다.

HDFS 기반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데이터 block당 한 개의 partition이 생성됩니다.

 

6) 드라이버 프로그램, 워커 노드, Job, Executor

 

1. 드라이버 프로그램

= 스파크 컨텍스트를 생성한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2. 워커 노드

= 실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입니다.

 

3. Job

= 데이터 핸들링을 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합니다.

 

4. Executor

= 워커 노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입니다.
쓰레드가 아닌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각 executor들 끼리는 영향을 끼칠 수 없습니다.

 

3. 스파크 구성도

일반적인 구성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sparkContext를 통해 클러스터에게 Job 제출.

2. 각 워커노드에서 Executor 생성

3. Executor에서 제출한 Job 수행

4. DAG

DAG는 Directed Acyclic Graph의 약어로 cycle이 발생하지 않는 그래프입니다.

spark에서는 데이터 처리를 이 DAG 형식으로 스케쥴링이 이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패가 일어나게 되면 일어난 지점에서 다시 DAG를 수행하여 데이터 손실을 없도록 합니다.

5. 마무리

이번에는 간략히 스파크 소개에 대해서 포스팅하였습니다.

다음에는 소개에서 언급한 RDD에 대해 좀 더 깊게 포스팅하겠습니다.

 

반응형

'BigData > Spa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스트럭처 스트리밍  (0) 2020.03.31
(5) 스파크 스트리밍  (0) 2020.03.19
(4) 스파크 SQL  (0) 2020.03.17
(3) 스파크 설정  (0) 2020.03.13
(2) RDD  (0) 2020.03.12
반응형

1. 서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Hadoop 시스템 서비스 중 하나인 Hive에 대해 설명 및 간단한 예제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2. Hive

Hive는 페이스 북에서 개발 되었습니다.

Hive는 하둡에 저장된 데이터를 sql 기반으로 간편히 mapreduce를 수행할 수 있으며,

추가로 elasticsearch, hbase와 같은 저장소와 hdfs상의 중간 인터페이스 역할도 제공합니다.

 

hdfs에 있는 파일은 일반적으로 tab 혹은 , 으로 구분자를 통해 각 자리에 의미있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이러한 구분자를 기반으로 테이블을 생성해주고, select, insert쿼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단, update 와 delete쿼리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결국 데이터는 구분자를 통한 파일의 한줄이기 때문입니다.
그 말은, DB와 같이 인덱싱이 걸려있지도, key가 있지도 않다는 의미입니다.

 

테이블은 아래와 같이 2가지가 존재합니다.

 

  • managed table
  • external table

 

1) managed table

 

hdfs의 데이터를 Hive에서 관리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rop table 질의를 하는 경우 hdfs의 데이터도 사라지게 됩니다.

 

2) external table

 

hdfs의 데이터와 hive 테이블과 심볼릭 링크가 걸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drop table 질의를 하는 경우에도 hdfs의 데이터는 유지가 됩니다.

 

3. 예제

예제로는 hdfs에 있는 데이터를 external 테이블로 만든 후, sql를 통하여 managed table로 만들고 두 테이블을 모두 drop 했을때의 hdfs 데이터 상태를 봐보도록 하겠습니다.

 

1) 데이터 준비

 

저는 아래와 같이 \t 구분자로 데이터를 hdfs:/user/young에 놓았습니다.

 

kim     1
geon    2
young   3
kim     1
geon    2
yeong   3

 

2) external table 생성

 

Hive에 접속하기 위해 hive 명령어를 통해 접속합니다.

그 후, 기본적으로 있는 default DB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아래와 같이 external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CREATE EXTERNAL TABLE temp
 (
    text string,
    count int
 )
 ROW FORMAT DELIMITED
 FIELDS TERMINATED BY '\t'
 STORED AS TEXTFILE
 LOCATION '/user/young';

ROW FORMAT DELIMITED FIELDS TERMINATED BY 에는 한 라인에서 데이터를 나눌 구분자를 지정합니다.

저의 경우 \t으로 데이터를 만들었기 때문에 '\t'를 지정합니다.

 

LOCATION 에는 연결을 원하는 hdfs상 디렉토리경로를 지정합니다.

 

아래와 같이 테이블을 생성하게 되면 테이블 목록에 보이게 되며,

select 쿼리를 통하여 데이터를 조회할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3) managed table 생성

 

이젠 이 external table을 사용하여 새로운 managed table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쿼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CREATE TABLE temp_managed
ROW FORMAT DELIMITED
FIELDS TERMINATED BY '\t'
STORED AS TEXTFILE
LOCATION '/user/young2'
AS
SELECT text, sum(count)
FROM temp
GROUP BY text
;

 

text로 group by 로 묶어서 count를 더하는 wordcount의 reducer의 역할을 하도록 쿼리하였고,

결과를 /user/young2 디렉토리에 놓도록 지정하였습니다.

managed 테이블은 단순히 external 이 아닌 create table로 테이블을 만들면 됩니다.

 

쿼리가 수행 후에는 아래와 같이 테이블 목록 및 hdfs에도 파일이 생성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external table drop

 

이번에는 처음 만들었던 external table인 temp를 drop 시킨 후 hdfs의 파일을 봐보도록 하겠습니다.

 

쿼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drop table temp;

 

결과로는 아래와 같이 hdfs상의 데이터에는 영향이 없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hdfs와 hive table간의 link만 끊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5) managed table drop

 

이번에는 managed table인 temp_managed 를 drop 시킨 후 hdfs 파일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쿼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drop table temp_managed;

 

결과는 아래와 같이 hdfs의 데이터도 모두 삭제되어 No such File 구문이 나온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Hive는 sql을 통해 간편히 데이터를 핸들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모든 작업은 mapreduce로 이루어집니다.

 

 

4. 하이브 지원 SQL

 

하이브에서만 지원되는 sql 들이 있습니다.

 

그 중, 알아두면 유용할 정렬에 관련해서 아래 3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1) sort by

 

order by 와 비슷하게 느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order by의 경우에는 전체 결과를 하나의 리듀서가 정렬을 하게되는 반면,

sort by의 경우에는 각 리듀서에서 정렬을하게 됩니다.

 

그로인해, 리듀서 갯수 multiple이기 때문에 성능에 이점을 볼 수 있습니다.

단, 각 리듀서에서만 정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히 정렬된  결과물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리듀서 갯수를 한개로 한다면 order by 와 동일한 결과가 나옵니다.

 

2) distribute by

 

distribute by로 지정한 칼럼 기준으로 한 리듀서에 지정한 동일한 칼럼값의 데이터가 가도록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예로,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있을 시

name age
kim 1
geon 2
yeong 2

distribute by age 를 하게되면 한 리듀서에는 (kim, 1)를 받게되고, 다른 리듀서는 (geon, 2), (yeong, 2)를 받게됩니다.

 

3) cluster by

 

cluster by는 distribute by와 sort by를 모두 한다고 보면 됩니다.

 

cluster by age를 하게되면, 각 리듀서는 age 기준으로 데이터 묶음을 받게되고 각 리듀서는 age기준으로 정렬하게 됩니다.

5.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Hive에 대해 포스팅 하였습니다.

 

이렇게, Hadoop에 대한 포스팅을 완료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Hadoop eco system에서 많이 쓰이는 Spark에 대해 진행하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BigData > Hado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Hadoop 사용법  (0) 2020.03.09
(2) Hadoop 설치  (0) 2020.03.05
(1) Hadoop에 대해  (0) 2020.03.04
반응형

로봇이 commands에 있는 숫자만큼 이동합니다.

이동 중 첫 지점과 로봇의 위치의 두 점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이 생기며, 사각형이 최대일때의 면적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아래는 조건입니다.

  • 시작 위치는 (0, 0)
  • commands에서 -1은 turn right
  • commands에서 -2은 turn left
  • commands에서 -1, -2를 제외하고는 0이상 9이하만이 존재
  • obstacles는 장애물 위치이며, 장애물이 있으면 로봇은 전진하지 못함

 

저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풀었습니다.

 

class Solution:
    def robotSim(self, commands: List[int], obstacles: List[List[int]]) -> int:

        dx = [0, 1, 0, -1]
        dy = [1, 0, -1, 0]
        direction = 0

        # position (x, y)
        position = [0,0]
        res = 0
        obstacle_set = set(map(tuple, obstacles))

        for command in commands:
            if command == -1 :
                direction = (direction + 1) % 4
            elif command == -2:
                direction = (direction - 1) % 4
            else:
                for i in range(command):
                    if (dx[direction] + position[0], dy[direction] + position[1]) not in obstacle_set:
                        position[1] += dy[direction]
                        position[0] += dx[direction]
                        res = max(res, math.pow(position[0], 2) + math.pow(position[1], 2))
        return int(res)

 

일단, 동서남북으로 움직이기 위한 dx, dy 배열을 만들어 줍니다.

direction은 배열의 인덱스로 방향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저는 추가로 로봇의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해 position 배열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후는 commands를 이터레이션하며 -1, -2일때는 맞게 방향을 설정합니다.

그리고, 그 외 숫자가 나왔을 경우엔 숫자만큼 for문을 통하여 장애물이 있는지 없는지 체크하고 없다면 전진시킵니다.

 

전진 후에는 만들어진 사각형이 최대인지 max함수를 통해 구해줍니다.

 

사실, 여기서 계속 time 초과로 떨어졌었는데요.

그 이유는 위의 obstacle_set = set(map(tuple, obstacles)) 를 안해주었기 때문이였습니다......

 

장애물들을 list가 아닌 imutable한 tuple로 변환 후 set을 통하여 중복제거하여 불필요한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Algorithm > gree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etcode - Two City Scheduling  (0) 2020.03.12
leetcode - Maximize Sum Of Array After K Negations  (0) 2020.03.11
leetcode - Lemonade Change  (0) 2020.03.05
leetcode - Assign Cookies  (0) 2020.03.04
leetcode - Is Subsequence  (0) 2020.03.03

+ Recent posts